공부가 재미 없어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주식 투자를 해보려고 한다.
네이버 증권 주식 재무제표 데이터는 api를 받아올 수 없다고 한다.
어쩔 수 없이 크롤링을 통해 데이터를 긁어보도록 하자
1. 종목 코드를 알아야 한다.
한국 거래소(krx)에서 코스피, 코스닥의 종목 코드가 포함된 업종분류형황을 다운받는다.
B행에 모든 종목 코드가 있는 파일을 구했다.
2. 위에서 구한 종목코드를 사용해서 주식 재무재표 크롤링 하기
이러쿵 저러쿵 크롤링을 진행하여
코스피와 코스닥에 있는 모든 종목의 매출액,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ROE, EPS, PER, PEG, 영업이익증가율을
근 3년간 데이터와 근 4분기의 값을 수집하였다.
데이터가 많아서 그런지 수집하는데 반나절은 걸린듯 하다..
3. 저평가 기준 선정
- PER < 10
- EPS 성장률 > 0
- ROE > 10
- 영업이익률 > 5
이렇게 설정하고
연간 데이터와 분기 데이터 모두를 수집했기 때문에
연간 및 분기 데이터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감이 안잡혀서 인공지능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 PER, ROE, 영업이익률에서 연간 및 분기 중 최신 값 중 가장 유리한 값을 선택합니다.
- EPS 성장률은 연간과 분기 중 더 높은 값을 선택합니다.
라고 해서 이대로 진행.
이렇게 13개 종목이 짜잔하고 나왔다.
종목명 | 주가(24.11.18 기준) |
KCC | 240,000 |
강원랜드 | 17,050 |
금호타이어 | 4,440 |
뉴프렉스 | 4,600 |
밀리의서재 | 13,810 |
벽산 | 1,888 |
에스트래픽 | 4,010 |
에어부산 | 2,325 |
인터플렉스 | 8,680 |
제주항공 | 9,120 |
진에어 | 11,020 |
코리아에프티 | 5,240 |
티웨이항공 | 2,870 |
항공주가 많이 나왔다...
4. 요새 트럼프 이슈로 시장도 안좋은데 밸류업(?) 기업에 투자해보도록 하겠다.
5. 시간 날 때 기업을 봐보고 저평가 기준 선정한 것을 수정해서 다시 프로그램을 돌려봐야겠다.
잔고를 보면 주식보다 적금이 나을지도 모르겠다.ㅠㅠ
'취미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yt-dlp를 사용한 유튜브 영상 다운로드 (0) | 2025.03.05 |
---|